국내외 특허 사이트

파인특허
December 29, 2024

특허는 기업이나 개인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법적으로 보호해 주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특허 확보·분석 업무를 담당한다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특허 사이트 활용이 필수입니다.

국내 주요 특허 사이트

1. KIPRIS (특허정보넷)

  • URL: https://www.kipris.or.kr
  • 운영 주체: 특허청 & 한국특허정보원(KIPI)
  • 주요 특징: 국내 특허·실용신안·디자인·상표 등 다양한 지식재산권 검색 가능. 출원번호, 등록번호, 출원인명, IPC 분류 코드 등 다채로운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음.
  • 장점: 한글 서비스 제공으로 접근성이 뛰어남. 무료이며, 국내 대부분의 특허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

2. 특허청 (KIPO)

  • URL: https://www.kipo.go.kr
  • 운영 주체: 특허청(KIPO)
  • 주요 특징: 특허 출원·등록 현황 조회, 심사·심판 관련 정보, 각종 공지사항 및 제도 변경 정보 제공
  • 활용 팁: 제도 변동 사항과 심사 가이드라인 등을 숙지해 출원 전략을 세울 때 유용

국제 특허 사이트

1. Google Patents

  • URL: https://patents.google.com/
  • 운영 주체: 구글(Google)
  • 주요 특징: 전 세계 100여 개 특허청의 특허 문서를 무료로 검색 가능. 영어 기반이지만, 자동 번역 기능 지원
  • 장점: 폭넓은 국가 커버리지를 제공하므로, 해외 시장 동향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편리

2. WIPO PATENTSCOPE

  • URL: https://patentscope.wipo.int/
  • 운영 주체: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 주요 특징: PCT(국제 특허 출원) 문서를 중심으로 전 세계 특허 검색 가능. 다국어 검색 기능을 제공
  • 장점: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국제 특허출원을 고려할 때, 포괄적인 자료 확보에 유리

3. EPO Espacenet

  • URL: https://worldwide.espacenet.com/
  • 운영 주체: 유럽특허청(EPO)
  • 주요 특징: 유럽 지역 특허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방대한 특허 데이터베이스를 보유
  • 장점: 유럽 시장 진출 기업이나 연구자에게 필수적인 정보원

주요 국가별 특허 사이트

해외 진출이나 국가별 특허 동향이 중요한 경우, 해당 국가의 특허청 웹사이트를 직접 활용하면 더욱 심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미국 특허청(USPTO)

  • URL: https://www.uspto.gov/
  • 주요 특징: 미국 내 특허·상표·저작권 등 다양한 지식재산권 정보를 제공. 심사 흐름, 출원 절차 등에 대한 자료가 풍부
  • 활용 팁: 미국 특허번호(예: USXXXXXXXB2)를 직접 조회하면 심사 상태, 패밀리 정보 등을 바로 확인 가능

2. 일본 특허청(JPO)

  • URL: https://www.jpo.go.jp/
  • 주요 특징: 일본어·영어로 검색 가능하며,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장점: 일본 시장 분석을 위해 정확한 현지 특허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

3. 중국 국가지식산권국(CNIPA)

  • URL: http://english.cnipa.gov.cn/
  • 주요 특징: 중국 내 특허·실용신안·디자인·상표 등의 공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영어 서비스도 지원
  • 장점: 방대한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사 특허 현황과 현지 IP 동향 파악에 필수

특허 검색 전 알아두어야 할 핵심사항

  1. 국제특허분류(IPC) 이해some text
    • 분야별 특허 분류 코드를 알고 있으면, 검색 정확도가 올라감
    • 예) 전자기기(H), 화학(C) 등
  2. 적절한 키워드 선정some text
    • 동의어·약어·전문용어를 최대한 다양하게 준비해 검색
    • 예) 전기차 -> “electric vehicle”, “EV”, “battery technology” 등
  3. 검색 범위(날짜, 국가) 지정some text
    • 최근 5~10년 정보를 중점적으로 보면 최신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기에 용이
    • 진출하려는 국가의 특허청 사이트에서 상세 검색 기능을 활용
  4. 공개공보 vs 등록공보some text
    • 공개공보: 출원만 하고 아직 등록되지 않은 특허
    • 등록공보: 심사를 거쳐 공식 특허로 등록된 것
    • 검색 목적에 따라 둘을 적절히 구분해야 중복 출원이나 침해 위험을 피할 수 있음
  5.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시점 확인some text
    • 일부 사이트는 실시간 업데이트가 늦어질 수 있으므로, 공식 사이트와 교차 검증 필요

특허 검색 프로세스, 이렇게 하면 성공한다

  1. 기초 조사: KIPRIS와 Google Patents에서 넓게 검색해 경쟁 기술 파악
  2. 상세 분석: 해외 주요 사이트(USPTO, JPO, CNIPA, EPO 등)로 목표 시장 심층 조사
  3. 결과 필터링: 분류 코드, 키워드, 출원인명, 날짜 범위 등을 활용해 자료 선별
  4. 청구항 및 명세서 확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 기술 범위 및 권리 범위를 면밀히 검토
  5. 유사 특허 점검: 중복 특허 여부를 확인하고, 차별화 포인트를 찾는 전략 수립

올바른 특허 사이트 활용이 경쟁력의 시작

오늘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는 시장에서는 특허 분석이 필수입니다. 특허 사이트를 활용해 경쟁사의 특허 현황을 파악하고, 중복을 피하며, 새로운 기술의 차별화 요소를 찾는 과정이 핵심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1. 무료 & 공신력: KIPRIS, 특허청 사이트, Google Patents로 기초 검색
  2. 해외 시장 대비: WIPO PATENTSCOPE, EPO Espacenet, USPTO, JPO, CNIPA로 국가별 심층 분석
  3. 검색 효율 극대화: 국제특허분류(IPC), 다국어·약어 키워드, 필터링 기능 활용

특허 검색 결과를 단순히 확인하는 데 그치지 말고, 출원번호, 청구항(Claims), 등록 공보 상태 등을 꼼꼼히 살펴서 특허권 범위와 침해 가능성 등을 면밀히 파악하세요. 충분한 준비와 분석을 통해 특허 분쟁 위험을 줄이고, 기술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